2025. 2. 3. 14:52ㆍ반도체 후공정
2. Wafer level Package
(5) TSV 공정
1) TSV 패키지 공정 (Via middle 기준)
①~④ 웨이퍼 공정에서 Via 형성
⑤~⑥ 웨이퍼 앞면 Solder bump 형성
⑦~⑨ Carrier wafer를 붙여 Back grinding
⑩ 뒷면에 bump 형성
⑪~⑫ 칩단위로 Dicing
2) TSV 형성 공정
① FEOL : CMOS를 wafer에 형성
② HM Patterning : Hard Mask로 패턴형성 (TSV 형성 위치)
③ TSV etching : Si Dry etching해 깊은 trench 형성
④ Dielectric CVD : Oxide같은 절연막 증착 (채울 Cu를 Si와 절연+그라인딩시 Cu로 인한 Si 오염 방지)
⑤ Seed/Barrier 금속 박막층 형성
⑥ Via filling : Cu 전해도금
⑦ CMP : 트렌치에만 Cu 채워짐
⑧ BEOL
(6) TSV를 이용한 칩 적층 패키지
1) 3DS 패키지 공정 (Substrate Package)
(a) 특징
① 첫번째 칩 / 두번째 이상 칩에 대해 패키지 공정이 구분되어 진행 (범프간격차이)
② 첫번째 칩(bottom) : Master chip
ㄴ Substrate에 붙는 칩
ㄴ Sub의 제조 공정상 한계 : Pad간격 > 실제 bump간격
(Substrate의 Pad간격에 대응하도록 wafer bump를 크게 만들어야함)
③ 두번째 이상의 칩 : Slave chip
ㄴ Chip - Chip 간의 간격이므로 bump간 미세간격 가능
(b) 공정 과정
① Front bump 생성 (Flip chip bump와 동일)
② WSS(Wafer Support System) : 휨 방지 공정
Bump 형성된 Wafer 앞면을 Temporary Adhesion(접착제)로 붙임
ㄴ Carrier wafer에 접착제로 붙어있으므로 얇아진 웨이퍼가 휘지 X
③ Back grinding (뒷면)
④ 뒷면에 Bump 형성
⑤ Carrier debonding
⑥ 원형틀에 테이프로 붙임 (컨벤셔널 과정과 동일)
⑦ Sawing/Dicing
⑧ 첫번째 칩을 Bottom wafer로부터 떼어 Sub에 붙임
⑨ 두번째 이상의 칩을 Upper wafer로부터 떼어 칩적층
⑩ 몰딩 - 마킹 - 솔더볼 마운팅 - 싱귤레이션 진행
※ 컨벤셔널 패키지의 경우 백 그라인딩 이후 원형틀에 테이프 붙임
TSV는 뒷면에 범프를 만들어야하므로 웨이퍼 공정 장비에 원형틀을 사용 불가
=> WSS 공정 이용
2) KGSD 공정
(a) 특징
① 대표 제품 : HBM
② 추가적 패키지 공정을 진행 (2.5D , 3D, Fan out WLCSP 등)
ㄴ 연결 Pin : 미세 solder bump (일반 솔더 ball X)
③ 칩적층 장소 : Wafer (Sub X)
-> 해당부분이 bottom chip이 됨
(b) KGSD 공정순서 (HBM)
- Core wafer : 웨이퍼 앞면에 칩 적층을 위한 bump 배열
① Front side Bumping
: Front bump -> Carrier Bonding
② Back Side Bumping
: Wafer Thinning Back Bump -> Carrier debonding & Sawing
③ Back end Process
: 웨이퍼 앞뒤에 범프 형성 -> 캐리어 떼어냄 -> 원형틀에 테이프로 붙임 -> Sawing
- Base wafer : 2.5D 패키지상 인터포저에 붙을 수 있는 bump 배열 필요
① core wafer에서 절단된 칩을 base상에 적층함
(Base wafer는 carrier wafer에 붙은 상태)
② Wafer molding
③ Back grinding
④ Carrier debonding
⑤ Dicing/Sawing
: 캐리어 웨이퍼에 붙여진 상태에서 Core 웨이퍼로부터 절단된 칩을 떼어내 Base 웨이퍼 위에 칩 적층
* HBM용어
① Bottom chip : Base chip
② 적층 chip : Core chip
※ 2.5D Package (SiP) 제작 공정
- CoWoS(Chip on Wafer on Substrate) 공정 : TSMC 개발 특허권
① 인터포저위에 logic chip(SoC) + HBM 붙임
② Wafer molding
③ Carrier bonding
④ Back grinding
⑤ solder bump형성
⑥ Carrier debonding
⑦ Singulation : molding된 인터포저 웨이퍼를 단품으로 잘라내 Sub에 붙임
⑧ 후속 패키지 공정 진행후 Heat Spreader 부착 (열특성 강화 방열판)
- CoCoS(Chip on Chip on Substrate) 공정 : 대부분 OSAT 회사
① Sub 양면에 bump 형성된 인터포저
② Chip단위로 잘라 붙임
③ 그 위에 HBM + logic chip을 각각 붙임
④ 후속 패키지후 방열판 부착
※ WSS(Wafer Support System)
TSV 비아 노출을 위해 백 그라인딩 된 얇은 웨이퍼를 추가 웨이퍼 공정이 가능할 수 있게
핸들링하기 위해 백그라인딩 전에 캐리어 웨이퍼를 붙여 후속공정을 진행하는 시스템
: carrier bonding+carrier debonding(back bump끝난후)
- Carrier bonding : 가접착용 접착제를 웨이퍼에 도포하고, 캐리어에 붙이는 공정
① Carrier bonding된 wafer 전체 두께 균일해야함
② 접합부 Void 없어야함
③ Wafer간 정렬
④ Wafer 가장자리에 오염 X (접착제에 의한)
⑤ 휨(Warpage) 적게
- Debonding : 뒷면 공정이 완료된 후 캐리어를 떼어내고, 웨이퍼에 성분 안남도록 세정
① 공정후 Wafer chipping, 깨짐, 균열 없어야함
② 접착제 잔여물 없어야함
③ bump 변형 없어야함
- Debonding 방법 (WSS에서 난이도가 높고 중요한 공정)
① 열방식
디본딩시 열을 가해 접착제를 녹인 다음 웨이퍼를 들어올리거나 슬라이딩시켜
떼어내고 세정하는 방식 (접착제는 열가소성 수지여야함)
② Laser 조사후 필름 벗겨내는 방식
특정 레이저에 반응하는 물질을 접착제의 한층으로 형성해 레이저 조사시 해당 층
녹게 함. 캐리어를 떼어내고, 웨이퍼에 남은 접착제는 필름 벗기듯이 벗겨냄. 이후 세정.
(3M에서 잔존물 안남는 특별한 접착제 개발)
③ 화학적 용해 방식
디본딩시 구멍이 뚫린 캐리어에 접착제를 녹이는 용해제를 흘려보내 접착제 녹임
캐리어를 떼어내고, 남은 잔존물 세정
(구멍이 뚫린 glass carrier를 써 단가가 비싸고, 공정 시간이 김)
④ 기계적 lift 후 화학적 세정 방식
원형틀에 웨이퍼를 붙이고, 캐리어를 기계적으로 들어올린 후, 웨이퍼에 남아있는 접착제를
세정용액을 이용한 화학적 세정으로 없애는 방식
모든 방법 마지막엔 세정
※ Wafer Edge Trimming 공정
TRIM 공정 없이 Back grinding | Wafer Edge Trimming |
웨이퍼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됨 ㄴ bump를 위한 공정 중 깨질 위험 |
웨이퍼 가장자리를 Trimming으로 제거 (wafer - carrier bonding 전에) Sawing / Dicing용 블레이드로 진행 |
※ Stacking 공정
TSV 패키징 : 웨이퍼 앞/뒷면의 bump를 본딩해 적층
- Bonding방식 (flip chip과 동일)
열압착 방식 | MR(Mass Reflow) 공정 |
신뢰성이 높음 : 범프간/칩간 간격이 작은 Micro bump에 쓰임 전체 공정 시간이 긺 : 생산성 떨어짐 |
열압착 방식의 생산성 문제 : 최근에 MR공정 이용 |
- 형태상 분류
Chip to Chip | Chip to Wafer | Wafer to Wafer |
생산성 최저 but ) 가장 많이 이용 |
KGSD같은 패키지 타입에 많이 이용 | 생산성 최고 적층 웨이퍼간 칩 크기 및 배열 동일 해야함 (이종 제품 적층시 문제) 한 웨이퍼에서의 칩 불량이 나면 제품 불량 뜸 --> CIS(CMOS Image Sensor)에서 제한적 이용 |
출처 : SK hynix newsroom , 반도체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패키지와 테스트(서민석)
'반도체 후공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도체 패키지 재료 Ⅰ (6) | 2025.05.06 |
---|---|
반도체 패키징 공정 Ⅳ (2) | 2025.05.03 |
반도체 패키징 공정 Ⅱ (0) | 2025.01.27 |
반도체 패키지 공정 Ⅰ (2) | 2025.01.24 |
반도체 패키징 종류 Ⅳ (0) | 2025.0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