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5. 6. 22:27ㆍ반도체 후공정
1. 컨벤셔널 패키징 재료
※ 재료 종류
① 원재료 (패키지 구성 재료 : 공정 품질 및 제품 신뢰성 영향)
유기물 복합재료 : 접착제, 서브스트레이트, EMC
금속재료 : 리드 프레임, 와이어, 솔더 볼
② 부재료 (패키지 도중 사용후 제거)
테이프류, Flux
(1) 리드 프레임
1) 구조
① 금속판 : Alloy42 (Si와 열팽창 계수 유사)
Cu (열전도 ↑ , 전기전도도 ↑)
② 은 도금부 : 와이어 본딩 위치 + 와이어와 접착 성능 ↑
③ 댐바 : 각 Lead를 지지 + 몰딩 시 완전 충진을 위한 완충 댐(?)
④ 패드 : 칩이 붙는 부분
⑤ 락킹 홀 (Locking hole) : EMC가 위 아래를 채워 lead 지지력을 높임
=> Lead forming시 lead가 빠지는 것 방지 + 패키지 균열 방지
2) 리드프레임 제조 공정 (금속판에서)
① 에칭법 : 미세 패턴 요구시 이용
전처리 - 코팅 - 노광 - Development - Etching - Stripping - Strip절단 - Plating
- Down Set & Taping - Packing
② 스탬핑(Stamping)법 : 고속 프레스에 Progerssive 방식 금형 장착하는 방법(?)
Stamping - Degreasing - Heat treatment - Plating - Taping - Down Set & Cut off
- Visual Inspection - Packing
(2) 서브스트레이트
※ 윗면 : Chip이 붙는 부분(가운데) + Bonding area(와이어 연결 가장자리)
아랫면 : Ball land(Solder ball 붙는)
1) 구조
① 코어 : BT resin (열안정성↑) + Cu foil (금속배선)
Cu foil(동박) |
BT resin 함침된 유리 섬유 |
Cu foil(동박) |
② Solder Resist : 금속패드 노출 + 보호막
2) 서브스트레이트 제조
: CCL - 드릴링 - Cu 도금 - 배선 형성 - 적층 - Solder Resist 형성 - 표면 처리 - 검사
① CCL (Copper Clad Lamination)
: BT resin 함침된 프리프레그 + 양면 Cu foil 붙여 완전 경화 (core?)
② 드릴링 (CCL에 구멍 뚫는것) : 층간 전기적 연결 통로 가공 목적
기계적 드릴 | 레이저 드릴 |
Drill Bit 이용 기판 한번에 관통해 뚫고, 구멍 품질 ↑ (작은 구멍은 어렵) |
YAG, CO2 이용 레이저 작은 구멍 정확히 뚫을 수 O (두꺼운 기판은 한번에 X) |
③ Cu 도금 : 절연층 사이 전기적 연결 매체인 구리 도금
구멍 벽면 도금 or 구멍 전체 채움
전해 도금 / 무전해 도금
④ 배선 : Cu foil + Cu 층이 배선 역할 할 수 있도록 에칭
ㄴ패턴 미세화 수준따른 종류
a) Subtractive
b) MSAP(Modified Semi-Additive Process)
c) SAP(Semi-Additive Process)
d) ETS(Embedded Trace Substrate)
=> 배선 이후 불량 검사 : AOI(Auto Optical Inspection)
※ 프리프레그 : Cu foil에 붙을 절연막
⑤ 적층 (Cu 3층부터 필요한 공정)
a) Cu foil 표면 산화 : 표면 거칠기 ↑ => 프리프레그와 접착력 ↑
(프리프레그 : 유리섬유에 BT resin 함침돼 반경화)
b) 프리프레그와 Cu foil : 고온, 진공에서 가열, 가압해 경화
=> 절연층, 금속층 적층
⑥ Solder Resist
a) 역할
- Cu 회로 보호
- 선택적 절연막 형성
- 외부열, 충격에서 Sub 보호
- Solder ball 붙는 영역 제한 : Solder ball 높이 균일
ㄴ Solder 금속과 wettability ↑ - 금속층 전체로 녹지 X게 함.
b) 액상타입(도포) / Dry film(필름 라미네이션)
⑦ 금속표면처리
a) 목적
Solder Resist 패터닝 : Solder ball 붙을 부분(Cu foil) 노출
=> Cu foil 표면 산화 방지 + Chip과 Sub 연결 용이 목적
b) 종류
- OSP(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) : 유기물질 도포
- ENIG(Electroless Nikel Immersion Gold) : Ni, Au 차례로 전해도금
- ENEPIG(Electroless Nikel Electroless Palladium Immersion Gold)
: Ni, Pd 차례로 무전해도금 + 금 Immersion공정 도금(마지막에)
- SOP(Solder on Pad) : Solder를 Pad에 입힘 => 접합성↑, 산화방지↑
⑧ 검사 : AFVI(Auto Final Visual Inspection : 장비)
FVI(Final Visual Inspection : 육안)
출처 : 반도체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패키지와 테스트 (서민석)
'반도체 후공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도체 패키지 재료 Ⅲ (0) | 2025.05.08 |
---|---|
반도체 패키지 재료 Ⅱ (6) | 2025.05.07 |
반도체 패키징 공정 Ⅳ (2) | 2025.05.03 |
반도체 패키징 공정 Ⅲ (0) | 2025.02.03 |
반도체 패키징 공정 Ⅱ (0) | 2025.01.27 |